내 손안에 하나님 나라, 진리로 세계를 열어주는

   - Prize Wisdom 그를 높이라 (잠4:8) -

오픈도어 ‘기독교박해지도 2021’발표…매일 성도 13명 피살, 北 20년 연속 1위

▲ 월드 와치 리스트-기독교박해지도 2021. 사진: opendoors.or.kr 캡처

전 세계에서 신앙 때문에 매일 13명의 성도가 살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크리스천투데이가 보도했다.

한국오픈도어선교회가 2019년 10월 1일~2020년 9월 30일까지 조사한 기독교 박해 국가 순위인 ‘월드 와치 리스트(World Watch List) 2021’에 따르면, 이 기간 신앙 때문에 살해된 기독교인은 4761명이었으며, 4488개 교회 또는 기독교 건물이 공격을 받았다. 또 4277명의 기독교인들이 부당하게 체포, 구금 또는 투옥됐으며, 1710명의 기독교인들이 신앙과 관련된 이유로 납치됐다.

이는 매일 평균 13명의 기독교인이 신앙 때문에 살해를 당하며, 12개 교회 또는 기독교 건물이 공격을 받고, 12명의 기독교인이 부당하게 체포, 구금 또는 투옥되며, 5명의 기독교인이 신앙과 관련된 이유로 납치당한 것이다.

상위 50위 내 3억 4000만 명 극단적 박해…사망자 수 60% 증가

또 박해국가 상위 50위 내에서만 3억 4000만 명의 기독교인이 매우 높거나 극단적인 수준의 박해와 차별을 받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볼 때는 적어도 그 이상의 기독교인들이 신앙 때문에 높은 수준의 박해와 차별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세계 그리스도인 가운데 8명 중 1명, 아프리카 6명 중 1명, 아시아 5명 중 2명, 라틴아메리카 12명 중 1명 꼴이다.

신앙으로 사망한 기독교인의 총 수는 2020년 월드 와치 리스트에 등록된 2983건에서 2021년에는 4761건으로 60% 증가했다. 사망자의 91%는 아프리카에서, 8%는 아시아에서 발생했다. 특히 서아프리카에서 믿음으로 인해 사망한 기독교인 수는 전체의 76%로, 아프리카 대륙의 사망 수의 83%로 가장 많았다. 그 가운데 나이지리아에서 작년 1350명에서 3530명으로 사망자가 증가해, 신앙으로 인해 살해된 기독교인 수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구금, 기소, 납치, 정신적 학대 등 아프리카에서 높아

신앙으로 구금된 기독교인의 총 수는 2020년 3420건에서 2021년 2813건으로 18% 줄었다. 아프리카(43%)와 아시아(55%)에서 신앙 때문에 구금된 기독교인의 수는 비슷했으며, 주로 에리트레아(아프리카)와 중국(아시아)에서 발생했다.

신앙 때문에 기소된 기독교인의 총 수는 1391건에서 1464건으로 5% 증가했다. 아시아에서 신앙으로 기소된 기독교인의 수는 98%로 아프리카(10%)보다 훨씬 많았다.

신앙과 관련된 이유로 납치된 기독교인의 총 수는 1052명에서 1710명으로 증가해 2020년 대비 63% 증가했다. 특히 아프리카에서 신앙과 관련된 이유로 납치된 기독교인의 수는 90%에 달해 아시아(9%)보다 훨씬 많았으며, 주로 나이지리아 출신이었다.

신앙과 관련된 이유로 신체적 또는 정신적 학대를 받은 기독교인(구타 및 살해 위협 포함)역시 아프리카의 비율(75%)이 아시아(23%)보다 훨씬 높았다. 나이지리아(아프리카)가 주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도(아시아)가 그 뒤를 이었다.

북한 20년 연속 1, 나이지리아 폭력점수 최고

박해국 상위 10위는 북한, 아프가니스탄, 소말리아, 리비아, 파키스탄, 에리트레아, 예멘, 이란, 나이지리아, 인도 순으로, 작년과 비교했을 때 크게 변동이 없었다. 북한은 20년 연속 1위를 유지했으며, 풀라니족들이 수백 개의 기독교인 마을을 점령하거나 약탈한 나이지리아가 처음으로 최고의 폭력 점수를 얻으며 상위 10위에 진입했다.

주목할만한 것은 박해조사 29년 만에 처음으로 상위 50개 모든 국가가 박해지수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을 받아 기존의 상황보다 매우 높거나 극도의 박해를 경험한 것으로 평가됐다.

코로나, 박해 촉매제로 작용수단은 배교자에 대한 사형 폐지

한편 2020년 발생한 코로나는 기존의 억압을 더욱 강화시킨 박해의 촉매제로 작용했다. 아시아와 중동의 농촌 지역 기독교인들이 지원을 거부당하는 등 생존을 위해 신앙을 버려야 할 압력에 노출됐으며, 세계적으로 교회는 작년보다 30% 더 높은 수준의 폭력에 직면했다.

이런 가운데 수단은 배교에 대한 사형을 폐지한 새 헌법이 (기독교인에게는 변화가 느릴 수 있지만)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게 됐다.

오픈도어는 “여러 박해 상황들은 통계로 잡을 수 있지만, 박해받는 그리스도인들의 고통은 통계에 없다. 오픈도어의 사명은 그들이 홀로 고통당하지 않도록 그들과 함께하는 데 있다”고 전했다. [복음기도신문]

<저작권자 ⓒ 내 손안의 하나님 나라, 진리로 세계를 열어주는 복음기도신문 > 문의:

Print Friendly, PDF & Email

관련 기사

20240428_Cuba_Pastor
쿠바, 개신교 목사 로렌조 로살레스 석방... 美 테러지원국 명단 제외 후 553명 대규모 사면
VOM-250122-DRC-1
콩민공 차비 마을 기독교인, 이슬람 극단주의자들 테러 이후 신앙으로 서서히 회복 중
20240902_india
인도 차티스가르주, 엄격한 개종금지법 도입
sudan-250118-unsplash
수단 기독교인, 개종 이유로 가족에게 버림받아

최신기사

쿠바, 개신교 목사 로렌조 로살레스 석방... 美 테러지원국 명단 제외 후 553명 대규모 사면
콩민공, 반군 M23 동부 마을 장악... 고마까지 임박
[오늘의 한반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2년 결과 효과 미미… 법령 개정 시급 외 (1/24)
[오늘의 열방] 이라크, 결혼 최저연령 18세→9세 법률 통과 외 (1/24)
[GTK 칼럼] 온유하고 겸손하니(4) – 죄짓는 당신을 위한 백전백승의 변호인
北 인구 절반 1160만 명이 식량 위기
韓, 출생자 수 9년 만에 증가… 인구 감소 여전
Search

실시간최신기사

20240428_Cuba_Pastor
쿠바, 개신교 목사 로렌조 로살레스 석방... 美 테러지원국 명단 제외 후 553명 대규모 사면
20250123_DR Congo
콩민공, 반군 M23 동부 마을 장악... 고마까지 임박
20250123_Kor
[오늘의 한반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2년 결과 효과 미미… 법령 개정 시급 외 (1/24)